Blender에서 사용되는 브러시 Brush의 Stroke Setting 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EbVRB/btsJ8MJ0eCn/3r0o22V1QhkvPXuOiFNwLK/img.jpg)
일단 Space bar (또는 Shift + Space bar)를 클릭하면 Tool bar를 커서에서 부를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hl0zA/btsJ9YCAUKb/WanXGNz3k4pbTDu1VU3Rh1/img.jpg)
키보드 설정은 Preference에서 Keymap / Spacebar Action에서 메뉴를 선택하면 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xTwn/btsJ7Cn0VcD/dLG3tdrLlvQH1QFqkqMwek/img.jpg)
Stroke Method는 Side bar에서 Tool, Brush Setting / Stroke에 Stroke Method가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FaNut/btsJ77BiFDX/Wh7QpUJuhNXg1VUx3OPvak/img.jpg)
단축키로 부를려면, Alt + E 입니다. (버전 4 이전 버전은 E입니다.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gSwB/btsJ95aD38t/d0dVeXxAzIrXNGzWE3kCN1/img.jpg)
기본 값은 Space입니다. Draw 브러시로 드래그를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6jNY/btsJ8oiwsf6/QZDDKeyNHS35vX2j76622K/img.jpg)
Spaceing 값을 올려주면, Brush를 구성하는 Dot 각각의 간격을 조절합니다. 100% 으로 하면 Dot 하나가 들어갈 정도의 간격으로 벌어집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xsEF/btsJ9KxBjEt/DhmfKkgZdeKeGfh6pKzvT0/img.jpg)
Zbrush에서 Lazer 기능같은, 흔들림을 잡아주는 기능이 Stablize Stroke을 켜줍니다. 그러면 브러시에 꼬리가 등장하여 흔들림을 방지해줍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dNVCM/btsJ8vV0lxQ/rmxITy6jQuixbKC2Hiqs5K/img.jpg)
Dots는 선택하면 Space와 비슷해 보이지만,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12o0X/btsJ9bh8kkv/g8a3rSWht3qZ4ivS4IeCH0/img.jpg)
Dots의 Jitter 를 조절하여 Airbrush비슷하게 흩뿌리게 해줍니다. Jitter Unit가 View인 경우 픽셀을 기준으로 조절하고,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ZMZg/btsJ9w7nTf3/aVfsvuSRabhPavITZGmol0/img.jpg)
Brush를 선택하면, 브러시 크기를 기준으로 Jitter 해줍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2ZGpV/btsJ7sTddGp/3LK0xgJwcoOjr0ILJXkiu1/img.jpg)
Airbrush 는 이름 처럼 뿌려집니다. Rate와 Jitter 등으로 흩뿌림을 조절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Z3Hs5/btsJ8ZCeOlD/5XG9tipOaKwc4X22tbdbCk/img.jpg)
Line은 선택하고 드래그를 하면, 점선의 직선이 등장합니다. 그 선에 옵션에 맞춰 뿌려줍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QvF9/btsJ9Y3Fho7/avd5KbltGOvyp1KcbPYhdk/img.jpg)
클릭하고 드래그 한 후 클릭을 놓으면 선이 그어집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DuKLb/btsJ7enhH4G/yXgAAhpxD8p74exqyR9Nc1/img.jpg)
Curve를 선택하면, 좌클릭으로 커브가 나오지 않고, Ctrl 키를 누르고,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서 그리면 커브가 등장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tGflI/btsJ8llLuce/fKw1KkVJwK7YidqEqKPzSk/img.jpg)
엔터를 하면 커브에 붓질이 적용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KHaE/btsJ8VT8cHS/mbe6iYK58fRvRj9geTG1e1/img.jpg)
Drag Dot 와 Anchored
마우스 드래그를 해서 도트, 또는 원하는 이미지를 넣을 경우에 Drag Dot를 사용하면 좋습니다.
(물론 스텐실을 사용해도 됩니다.)
Brush에 Texture를 부르면, 기본 값이 Mapping에 Reapet 로 세팅됩니다. 무한 반복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dBTP/btsJ7Q0y9VZ/iqCgfkuNf0QBtLgkrV0A01/img.jpg)
이 상태로 Drag Dot를 하면, 브러시 크기를 넘어가서 잡힙니다. (Falloff 는 Constant 입니다.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m1sO/btsJ9uuXMrP/D6j5CJhkHCf0Q0rsScrUV1/img.jpg)
그래서 사이즈를 줄이면, 반복되어 보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Q8cRy/btsJ7CBxS90/6ukPxZS8JkoUtPHyEeAtGk/img.jpg)
이 반복을 안하려면, Texture Properties로 가서, Reapet를 다른 것으로 바꾸고, (일단 Extend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33OS/btsJ80gQ2sE/6DjCCIUoKEqRoOfNEKf5C0/img.jpg)
그리고 사이즈를 줄이면, 반복되어 보이는 것이 사라집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5ka8I/btsJ74LnFEE/iU2wQzbE3HEkFDKwkYlCbk/img.jpg)
Drag Dot 는 마우스를 표면에 마우스 좌버튼을 클릭한 상태로 드래그 하면 Texture가 보이는 상태로 이동이 가능합니다. 위치가 선정되었으면, 마우스 버튼을 놓습니다. 그러면 종료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qNK3m/btsJ75Dx1ar/QtVrKGJm71TWDJiTjCqIMK/img.jpg)
Anchored는 마치 앵커처럼, 위치를 마우스 좌버튼으로 클릭하고, 드래그를 하면 크기가 커집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pVoOZ/btsJ93w8HT6/K0bNhXsPW3ChwaiJNOZW1k/img.jpg)
원하는 크기가 되었으면 마우스 버튼을 놓습니다. 그러면 확정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bJFCU/btsJ8wAzzMZ/crJ25TPVHEUhTpHkSG0Os0/img.jpg)
정리하면,
Drag Dot는 크기는 정해져 있고, 위치를 Drag해서 위치를 확정하는 것이고,
Anchored는 위치를 마우스 좌버튼으로 확정한 후, 드래그로 크기를 정하는 것입니다.
🏆 국비지원! 수강료 무료!💸💸💸
👉 Blender로 나도 제페토크리에이터!수강신청 https://litt.ly/solongos
☕제페토 카페 https://cafe.naver.com/zepeto3d
'3D > Blender3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lender에서 펜 타블렛 필압 활성화 (3) | 2024.10.21 |
---|---|
Blender: Brush alpha (5) | 2024.10.18 |
Blender: Stencil[2] Mask. (8) | 2024.10.16 |
Blender: Stencil[1] Texture. (2) | 2024.10.15 |
Blender: Ucupaint[4] (5) | 2024.10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