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러 소스 레이어 를 섞어보는 작업을 해보겠습니다.
저번 사용한 Layer에 추가를 합니다. 역시 Open Images to Single Layer를 이용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ojTx/btsJYbqOYeS/2WPP59BWmdFD6TljcHVTMK/img.jpg)
Color와 Roughness, 그리고 Normal을 선택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A5aAb/btsJZMwAbE9/t206m0gsFMeaJfEmVQExy1/img.jpg)
바위 Rocks 이미지 입니다. 아래에는 지난번 사용한 흙 Ground이미지 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QsEf/btsJZcoWXhY/XZLqZgPAk6rxf2uR90tVm0/img.jpg)
두 소스를 섞기 위해서는 Mask가 필요합니다. 마스크를 생성합니다. New Image Mask 를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5ZA6K/btsJ0bvQ0dW/MKM7ZSN1c85yAmQDAoHd41/img.jpg)
이름을 MixMask로 하고, 기본 값을 사용해서 생성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liXi/btsJ0fdSJJB/PTBgoNgqkO3rOj4AaXBdHK/img.jpg)
Layer를 보면, MixMask가 나타났습니다. 마스크 아이콘도 보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GWnu/btsJZovRXvi/u3Ky63k0GsHdDplsstXv8k/img.jpg)
아래 Channels에서 Mask에 보면, 마스크 소스, MixMask가 생성되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cuije/btsJ0aqdBz2/OCXrLbhZzPVjtKWmEKUBOk/img.jpg)
생성한 MixMask는 White color입니다. White는 1을 뜻합니다. Black는 0 입니다.
즉, 현재 바위 이미지가 덮고 있는 것은 마스크가 1 값, 즉 아래의 이미지를 차단하고 있다는 뜻입니다.
아래의 이미지가 보여지게 하려면, 0 값(Black)의 영역이 있어야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1u3W/btsJ0uPvrXN/K5Vv6NKgFTh3wX9sF9EBPK/img.jpg)
그래서, 작업환경을 Texure Paint로 전환하고, Fill 툴로, Color는 Black으로 하고,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r5bLn/btsJZb4CM9F/OkNgkln2PLwoYrFDzpC3jk/img.jpg)
Rock이미지 위를 클릭(!)해서 Fill을 해주면, 아래의 흙 Ground 이미지가 나타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qofp5/btsJY8mBzOt/BfFspglcbm9P49I8xvGTZ0/img.jpg)
이제, 툴을 Brush로 선택하고, Color를 White로 선택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0jDJ/btsJZqHbrqD/bXSiuzuoRKLXHd5zANKkf1/img.jpg)
그리고, 브러시로 White 칠을 부분적으로 해주면, Rock, 바위 이미자가 나타납니다. White영역에만 나타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paciA/btsJZ95Uoxg/HYc2zjPb1lTUp5lHHGQx20/img.jpg)
MixMAsk의 상태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EAvz/btsJZktx4Ow/ugnUMR4MqL0krwdRK83oGK/img.jpg)
여기저기 칠해봅니다. Maks 체크가 된 부분을 꺼보면,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4gPh/btsJYW00Ygb/IffverRyM4rwV1h25o1NAK/img.jpg)
흙 부분이 사라집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fIyP/btsJYTwq3Xo/C1wFdlsaZus5tqEziyQ1PK/img.jpg)
Layer에서 Rock 이미지의 Layer 의 눈 아이콘을 끄면, 아래의 Ground가 나타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StWTI/btsJX9T1M58/p8iQPuFOZmH73eG3RyRbV1/img.jpg)
자, 이번에는 Mask를 이미지를 가져오겠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zSuuZ/btsJZaEBwZx/fMm5yCf1aeUwDU6HNbOsL0/img.jpg)
Displacement 이미지 소스를 가져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9KGy/btsJZNvqx22/uUJrKUv5yhqGpCK1wyVRHk/img.jpg)
그러면, Displacement의 높이로 두 소스가 믹스 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tqCdl/btsJZb4CNaH/WdjZ7n9uI9atdz8NrKDZC1/img.jpg)
이 소스를 뒤집어 보려면, 톱니바퀴에서 Invert를 선택하면,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fQadW/btsJZuJAfSf/m9qwOAAXislmqqQZbktOA1/img.jpg)
뒤집혀 집니다. 흙이었던 부분이 바위가 되고, 바위였던 부분이 흙으로 덮였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vdxQ/btsJ0aDJKuO/hOfygBktMRMb5BNzzkBco1/img.jpg)
이번에는 RAmp를 선택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YBqz/btsJ0rSKWcz/245RcpnqTuDaji9XGSsZ7k/img.jpg)
경계부분을 Ramp로 조절 할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thXx9/btsJX6iGKCe/RARJKEqWKTMJcDhpmXcfCk/img.jpg)
Black과 White를 가깝게 위치해서 이 둘의 위치를 조절하면, 경계의 높이를 조절할 수있습니다.
흙의 경계가 바위들 사이로 낮아졌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BAJ0/btsJZUA6VpH/sSwTXLOullyhqlIZfFWBLK/img.jpg)
흙의 경계가 높아졌습니다. 이렇게 재미있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JTFYY/btsJZ8673jq/k86qS2Oy5DfYdljpDhh7H1/img.jpg)
Shade Editor로 들어가면 자동으로 아주 복잡한 노드가 구성되어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rdyG/btsJZMDhYRG/4thPa6tSNM1WAFjFjKbLnk/img.jpg)
🏆 국비지원! 수강료 무료!💸💸💸
👉 Blender로 나도 제페토크리에이터!수강신청 https://litt.ly/solongos
☕제페토 카페 https://cafe.naver.com/zepeto3d
'3D > Blender3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lender: Stencil[1] Texture. (2) | 2024.10.15 |
---|---|
Blender: Ucupaint[4] (5) | 2024.10.14 |
Blender: Ucupaint[2] (2) | 2024.10.10 |
Blender: UCUPaint [1] (10) | 2024.10.09 |
Blender: Cube to Sphere (7) | 2024.10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