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eo Node-Attribute[1]에 이어서 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9UHB/btsKVIe2pV1/NPGKiNKYY24l0se7hLyHwK/img.jpg)
Geo Nodes를 적용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W8Cg/btsKVwFWAKV/cZjkW4zlgW9c5K0POwkhb1/img.jpg)
Spreadsheet 의 Mesh 의 Vertext의 Position 속성이 있는데,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ftYE0/btsKU70D0UM/FyqDOxXdbQ8K9oDjzkr9Hk/img.jpg)
Attribute Node에 Position이 있고, Normal도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sAzE/btsKT6uDRVb/1NWZ6UNEkyZRYtQKoa3JA1/img.jpg)
그리고, 이름을 입력하면 부를수 있는 Named Attribute 도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8LiS/btsKVwlycHI/r7AZTlKFOSpaMZzLvHfIz1/img.jpg)
Named Attribute 에선 Name을 클릭하면, 연결할 수 있는 속성 목록이 보이며, 그중에 선택할 수 있고,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o3JRz/btsKVaXyRo3/BXtSyPa9jduHskur8KQeRK/img.jpg)
또는 목록에 없어도 유저가 만든 속성을 이름을 직접 입력해서 불러 올수도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TdgE/btsKUDFvJKI/LMLzGSuVU4nawpp98eHgS1/img.jpg)
Group Input 노드를 선택하고, N키를 클릭한 후, Group 탭에서 Group Sockets 에서 하단 Geometry 를 선택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FuUNY/btsKT6VKh13/8ntHDkIeIWbQmw66LErYjK/img.jpg)
아래의 Geometry 를 선택하고, 오른쪽 + 버튼을 클릭해서 Input을 선택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iQPm/btsKVSBTOMd/Euyf0PAJeqdwNEXKdxKJr1/img.jpg)
그러면, Group Sockets 에 Socket 이 추가되고, Group Node Input 나타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H5qjC/btsKUAPw030/8oMQKL8f6kbSelf9JzER51/img.jpg)
Socket의 Type을 Vector로 바꾸고,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1OeYe/btsKTVAjCYs/plSDYkkhahUSKGBqxzzeD0/img.jpg)
Socket의 이름을 Input으로 바꿉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DukED/btsKTn4PUZN/7wxixIsRIDQnquZso3R1fk/img.jpg)
그러면, Modifier에 Input과 3개의 칸이 등장합니다. 그리고 오른쪽에 스프레드시트 아이콘이 보입니다. 그것을 클릭하면,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WhwKu/btsKTn4PU0W/z6NtJZeJKhOslYkkkt4DU0/img.jpg)
부를수 있는 속성의 목록이 보여집니다. (일단 position을 선택합니다.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DmP8c/btsKUgdddfV/PMJqL7YDTGhLkjmDk1QED1/img.jpg)
Group Input의 Geometry와 Input(값 position)에 Viewer를 연결해서 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3nGW/btsKTYcjPV2/1lHKuhHK4K6cDKuLJ8eC8k/img.jpg)
그림과 같이 보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Hf1N/btsKV0T3JLP/ZhIykp81EEwFMBdi4lOSn0/img.jpg)
Input을 Sharp_edge로 바꿔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SEDFW/btsKVsqafYE/sGcO39ZUyKxC2CkuSu00r1/img.jpg)
그러면 Sharp Edge를 적용한 부분이 보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JbLda/btsKTqHgUxZ/gnqdTdnw3Y9XHfEpBOyuV0/img.jpg)
이것을 Name Attribute의 Name에서 Sharp_edge를 불러서 연결해도, 같은 결과를 낼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tlzdj/btsKVKxayWZ/u73TnvbeH3okvKmP9UbaUK/img.jpg)
Subdivision Surface Node를 생성해서 연결해서, Crease 속성을 불러서 Edge Crease에 연결해 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44FF/btsKUiIqPdl/UEvvKiKkJroHJUTbrRPqnK/img.jpg)
Crease_edge을 불러서,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j4dR/btsKVuVDah0/ZqX329TgCHPk5DIkgHmVSk/img.jpg)
Edge Crease에 연결합니다. 그리고 division level을 5이상, 여기서는 6정도 적용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8Zar/btsKVrdERjH/KKf3KkDd8OullJgEeRQfl1/img.jpg)
Crease 값이 1 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MdfAv/btsKToo5eMD/wRKzDGFW4QGolwLbrrHruK/img.jpg)
그러면, Subdivison Surface level 6 상태에서도 날카롭게 엣지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zfE0/btsKVAan6sf/jZKnXiij6JkWDR72BAoWGk/img.jpg)
역시, Name Attribute의 Name에서 Creas_edge를 불러서 연결해도 같은 결과 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Ux2F/btsKUj1y4dZ/RzwF4geUNX4pjkcRwSdXo0/img.jpg)
🏆 국비지원! 수강료 무료!💸💸💸
👉 Blender로 나도 제페토크리에이터!수강신청 https://litt.ly/solongos
☕제페토 카페 https://cafe.naver.com/zepeto3d
#블렌더 #블렌더툴 #blender #blender3d #블렌더강의 #zepeto #제페토 #국비지원 #부업 #부수익 #3d강의
'3D > Blender3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lender: Geo Nodes - Connections[2] (1) | 2024.12.04 |
---|---|
Blender: Geo Nodes Connections [1] (0) | 2024.12.03 |
Blender: Geo Node - Attribute[1] (2) | 2024.11.29 |
Blender: Geometry Node-Basic[4] (2) | 2024.11.28 |
Blender: Geometry Node-Basic[3] (1) | 2024.11.27 |